함흥차사 뜻 (咸興差使) , 의미, 유래 , 사용 예문을 알아보자
목차
함흥차사 뜻
咸 : 다 함 / 興 : 일어날 흥 / 差 : 보낼 차 / 使 : 사신 사
함흥차사 의미
조선 초기 함흥에 가 있던 태조에게 보낸 사신.
심부름 간 사람이 소식 없이 오지 않음
함흥차사 유래
태종은 태조에게 문안하고 서울로 돌아올 것을 요청하기 위해 함흥으로 차사(差使)를 보냈다. 야사에서는 함흥으로 간 차사들이 태조에게 죽음을 당해 돌아오지 못했다고 전하는데, 이로 인해 한번 떠났다가 소식 없이 돌아오지 않는 것을 ‘함흥차사‘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 건국 초기에 있었던 야사에서 비롯된 사자성어이자 관용어구.
사자성어의 풀이 자체는 ‘함흥에 가는 차사’라는 뜻이지만 속 뜻은 ‘보낸 사람(파견인)이 아직도 아무런 소식이 없다’는 의미이다.
태조 7년(1398년)에 제1차왕자의 난으로 아들 방번(芳蕃)과 방석(芳碩), 그리고 정도전(鄭道傳) 등 심복을 잃은 태조는 상심하여 정사에 뜻을 잃고 정종에게 양위했다.
그 후, 1400년(정종 2년)에 제2차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환멸을 느낀 태조는 고향 함흥으로 떠났다. 평소 태조가 신임하던 성석린(成石璘)을 보내어 그를 함흥으로 데리고 왔으나, 이후 다시 함흥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태종은 태조에게 문안하고 서울로 돌아올 것을 요청하기 위해 함흥으로 차사를 보냈다. 그러나 함흥으로 간 차사들은 태조에게 죽음을 당해 돌아오지 못했다. 이때의 사건을 ‘함흥차사’라고 불렀다. 박순이 희생한 사실은 알려져 있지만, 이후 『태종실록』에는 함주의 군중에서 피살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태조는 여러 차례의 간청에도 돌아오지 않았지만, 무학대사가 찾아가자 서울로 돌아왔다.
함흥차사 사용예문
- “지난 주에 약속한 친구가 이제까지 연락이 없어. 정말 함흥차사인지 걱정이 돼.”
- “회사에서 일찍 퇴근한 직원이 저녁 식사 시간까지 돌아오지 않아서 함흥차사로 여겨졌다가 결국 근처 카페에서 친구를 만나고 있었다.”
- “어제 저녁에 약속한 애인이 오늘 아침까지 연락이 없어서 함흥차사로 의심했는데, 전화를 받자마자 미안하다며 어제 회사에서 급한 일이 생겨서 그랬다고 했다.”
- “동네에서 유명한 식당이 문을 닫았는데, 주인 아주머니가 어디로 갔는지 함흥차사가 되었다.”
- “친구와의 여행 중에 길을 잃어버려 함흥차사가 되었는데, 마침내 지도를 통해 목적지로 돌아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