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집예절 장례식장 예절 인사말

상가집예절 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장례식이나 조문 시에는 상대방의 슬픔과 아픔을 고려하여 예의를 지켜야 합니다. 종교나 문화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문상 예절

복장:

어두운 색의 옷을 입는 것이 적절합니다. 주로 검은색이 선택되며, 화려한 색상이나 무늬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문 시간:

조문 시간을 확인하고, 가능한 빨리 참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문 시간에 늦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조문 순서:

  • 1 빈소에 도착하여 상주에게 인사 드린 후 영정 앞에 무릎 꿇고 앉아 분향한다.
  • 2 분향 후 일어서서 두 번 절 한다.
  • 3 물러나와 상주에게 절한다.
  • 4 안면이 있는 상주라면 짧게 위로의 말을 건넨다.
  • 5 조문 후에는 몸을 돌려서 나오는 것이 예의에 어긋나지 않다.

조문인사말: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와 같은 간단한 말로 시작합니다.

상대방의 기분을 고려하여 따뜻한 위로의 말을 덧붙입니다.

상주, 상제의 부모인 경우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

상제의 아내인 경우
“얼마나 섭섭하십니까?
상사에 어떻게 말씀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상제의 형제인 경우
“백씨상을 당하셔서 얼마나 비감하십니까?”
※ 백씨 : 남의 맏형의 존칭 / 중씨 : 남의 둘째형의 존칭 / 계씨 : 남의 사내아우의 존칭

자녀인 경우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참척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 참척 :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에 앞서 죽는일을 칭함

종교적 차이:

종교에 따라 조문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기독교, 불교, 천주교 등에서는 각각 다른 예절이 적용됩니다.

조문 후:

조문이 끝난 후에는 조용히 떠나세요. 다른 사람들이 조문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상가집예절

헌화방법

오른손으로 꽃줄기 하단을 가볍게 잡고 왼손 바닥으로 오른손을 받쳐 들어 두 손으로 공손히 끝 봉우리가 영정 쪽으로 향하게 하여 제단 위에 헌화 한 뒤 잠깐 묵념을 합니다

분향방법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 위에 놓는데 이 때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칩니다.

-선향(線香. 막대 향)일 경우 하나나 둘을 집어 촛불에 불을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든지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고
절대 입으로 불면 안 됩니다.

-두 손으로 공손히 향로에 꽂는데 선향은 하나로 충분하나 여러 개일 경우 반드시 하나씩 꽂아야 합니다.
※ 종교적 이유, 빈소상황 등에 따라 헌화와 분향을 반대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절 하는 법

상주에게 한번,
영정 앞에서는 두 번 절한다.

문상객의 옷차림

남성 문상객의 옷차림
· 검은색 양복 혹은 감색, 회색 양복을 입는 것이 무난하다.· 와이셔츠는 튀지 않는 흰색 또는 무채색 계통의 단색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여성 문상객의 옷차림
· 검은색 상의에 무채색 계통의 폭이 넓은 치마를 입는 것이 무난하다.· 검은색 구두에 검은색 스타킹이나 양말을 필히 착용하며 맨발을 보이지 않아야 한다.· 그 밖에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맞춘다. 색조 화장을 삼간다.·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장신구도 가능하면 착용하지 않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학생 문상객의 옷차림
· 교복을 입거나 무채색 계열의 옷을 입는다.· 모자를 쓰지 않는다.

조의금

조의금 봉투에는 초상의 경우 ‘부의(賻儀)’라 쓰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근조(謹弔)’, ‘조의(弔 儀)’, ‘전의(奠儀)’, ‘향촉대(香燭臺)’라고도 쓴다.

조의금 봉투 안에는 단자(單子)를 쓴다. 단자는 흰 종이에 쓰는데 단자를 접을 때 세로로 세 번, 아래에 1cm정도를 가로로 접고, 가능하면 조의(弔儀) 문구나 이름이 접히지 않도록 한다.
※ 단자 :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이나 이름을 적은 종이

부조하는 물목이 돈일 경우에는 단자에 ‘금 ○○원’이라 쓴다. ‘일금 ○○원정’은 틀린 말이다. 부조 물목이 돈이 아닐 경우 ‘금 ○○원’ 대신 ‘광목 ○필‘, ‘백지 ○○권’ 식으로 기재한다.

부조하는 사람의 이름 뒤에는 아무것도 쓰지 않아도 된다. 혹은 ‘근정(謹呈), 또는 ‘근상(謹上)’이라고 쓰기도 한다.

단자의 마지막 부분에 ‘○○댁(宅) 호상소입납(護喪所入納)’이나 ‘○상가(喪家) 호상소 귀중’과 같이 쓰기도 하나 요즘은 호상소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쓰지 않아도 무방하다.

조의금을 상주에게 직접 건네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기 때문에 문상 후 부의함에 넣는다.

하지말아야 할 말과 행동

지나친 표현 자제

고인과 친분이 두터운 경우 자신의 슬픔을 표현하거나, 유족을 위로하고 싶은 마음은 이해하지만 지나친 표현으로 도리어 부담을 주는 것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고인과 의 친분을 길게 설명한다거나 지나치게 크게 오열을 한다거나, 유족들에게 자신의 종교적 신념 등을 길게 설명하며 부담스러운 위로를 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 유족들 은 이미 충분히 슬프고 힘든 상태이기 때문에 위로가 아닌 피로만 가중시키게 된다.

음식 권하기

슬퍼하는 유족의 건강이 염려되겠지만, 자꾸만 음식을 먹으라고 권하는 것도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다. 슬픔이 가득한 곳인 만큼 평소에는 아무 생각 없이 하던 말과 행 동도 유족들에게는 고통과 부담일 수 있다. 심지어 “안녕하세요”라는 인사말조차 상을 당한 유족들에게는 해서는 안 될 인사말이다. 손을 잡아주거나 가볍게 목례로 인사 한다.

사인 묻지 않기

고인과 유족과 매우 친밀한 관계가 아니라면 고인이 돌아가시게 된 사인에 대해 모를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장례식장에서 유족에게 대놓고 묻거나, 장례식장에서 만난 지 인들과 가십거리인 양 나누는 모습은 그리 아름답지 못하다. 궁금하더라도 장례식장 안에서는 차분히 유족을 위로하고 성의를 표현하는 데 힘쓰고, 밖에 나온 후에 지인 들에게 묻는 편이 낫다

건배하지 않기

장례식장에서 무의식 중에 가장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가 바로 술을 따른 잔을 서로 부딪히며 건배하는 행동이다. 건배는 서로 축하하거나 행운을 기원할 때 하는 행동 이며, 장례식장에서는 예의에 맞지 않는 행동이다. 또한 아무리 고인이 건강하게 장수하셨더라도 ‘호상’이라는 말은 입에 올리지 않는 것이 예의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일에 ‘호상’이라는 말로 마음이 가벼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다른 사람들이 많이 본 사이트